반응형
a = [1,2,3,4,5]
print(a)
기본적인 배열이며
배열의 인덱스는 첫번째는 항상 0 부터 시작한다
간단한 응용
a = [1,2,3,4,5]
for x in a :
print(x)
이렇게하면 배열에 내용만큼 출력이 가능하다
a = [1,2,3,4,5]
a[1:3] # 2부터3까지 출력 3전까지 출력이라는뜻임
print(a)
a[-1]
print(a) # -1은 마지막 원소를 가르킨다.
리스트의 길이 구하기
len(a)
print(len(a))
이렇게 사용하여 배열의 길이를 구할수 있다.
원소 추가하기
#리스트에 원소 추가하기
arr = ['apple','pineapple','grape','melon','peach')
#맨뒤에 추가하기
arr.append('watermelon')
#원하는 인덱스에 추가하기
arr.insert(1,'pizza')
원소 삭제하기
arr = ['apple'melon','peach')
#특정 인덱스 삭제
del.arr[0] #apple이 삭제됨
#원소를 아예 비우기
arr.clear
print(arr)
#remove()함수
#remove함수는 원소값을 넣는게 아니라 지울값을 지정해 주어야한다.
a = [1,2,3,4,5]
a.remove(3)
print(a) #이러면 배열에서 3이 사라진다 (3번째 인덱스가 아닌 3이 사라짐)
반응형
'파이썬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반복문(for문) (0) | 2025.04.10 |
---|---|
파이썬 if문 (0) | 2025.03.28 |
파이썬-연산자 (0) | 2025.03.20 |